본문 바로가기

GDP3

우리나라, 선진국, 신흥국 GDP대비 비금융민간부문(비금융기업과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부채비율 시사점 신흥국보다 선진국의 부채비율이 높은 것은 금융발전에 따른 현상 2000년-2024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선진국, 신흥국 GDP대비 비금융민간부문(비금융기업과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부채비율을 보여주는 데 관련해 세 가지 중요한 사실을 반영한다. 우선 신흥국보다 높은 선진국의 부채비율은 금융발전에 따라 활성화된 자금중개가 성장을 촉진한 결과물이다.한편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는 이 비율의 역수, 즉 빚 대비 GDP가 하락해 GDP보다 빚의 증가율이 커 빚의 성장에 대한 기여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시사한다. 빚이 지출을 늘려 경제를 활성화하지만 동시에 상환압력도 높아짐에 따라 지출을 줄이는 효과도 일어나기 때문이다. 부채비율이 일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오히려 빚이 성장을 옥죄는 부채 오버행(Debt overh.. 2025. 5. 22.
IBK기업은행과 함께 배우는 금융경제용어 700선! [국민소득] 안녕하세요! IBK기업은행입니다!오늘 소개할 금융경제용어는국민소득과 직결된GDP와 GNI인데요!GDP는 뉴스나 기사 등에서자주 접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그 뜻을 알고 있는 분들이 많겠지만,GNI는 다소 생소할 수 있을 텐데요.GDP와 GNI가무엇을 뜻하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국민소득이란? GDP와 GNI를 이해하기 전에국민소득이 무엇인지에 대한정의를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국민소득이란 1년 동안 한 나라의 국민이생산 활동의 결과로 얻은 최종 생산물의 총액을 뜻하는데요.GDP와 GNI 모두 국민소득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국내총생산(GDP)란? 국내총생산을 뜻하는 GDP는한 나라의 영역(국경) 내에서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창출한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를 나타냅니다.. 2024. 6. 26.
애널리스트가 바라보는 애널리스트 - 1부 애널리스트가 보는 애널리스트 - 1부 안녕하세요. 기업은행 자금운용부 이효석 과장입니다. 금융시장에 대한 두 번째 연재물의 주제는 '애널리스트(Analyst)' 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어떤 직업보다 전문적이고 멋진 직업이지만, 여러분들은 아마도 애널리스트에 대한 공통적인 질문을 가지고 계실 겁니다. ‘왜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틀린 말을 할까?’, ‘왜 주식을 팔라는 말을 아무도 하지 않을까?’ 등입니다. 저는 짧은 시간동안 기업은행 자금운용부에서 애널리스트와 펀드매니저를 경험해 보았는데요. 그 경험을 바탕으로 지금부터 애널리스트에 대한 지나칠 정도로 솔직한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내용은 ①피장파장, ②잘한 것만 내 탓, ③을의 비애 입니다. 0. 들어가기 - 애널리스트, 그들의 태생적 한계가 가져온 .. 2012.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