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전체보기 (1774) N
    • IBK NEWS (87)
    • 금융정보 톡 (1404)
    • 생활정보 톡 (216)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보험

  • 예정이율이 떨어지면 보험료가 오른다? 예정이율이란?

    2021.04.08 by SMART_IBK

  • 보험가입자가 반드시 알아둘 5대 권리!

    2018.06.01 by SMART_IBK

  • 시간은 돈! 유용한 금융 정보 사이트 한번에 해결하자

    2017.04.18 by SMART_IBK

  • 참! 쉬운 경제 상식 #보험 용어편 용어를 알아야 보험 상품이 보인다

    2016.12.28 by SMART_IBK

예정이율이 떨어지면 보험료가 오른다? 예정이율이란?

완연한 봄에 들어섰지만 국민들의 가계 재정에는 또 한 번의 찬바람이 몰아칠 예정입니다. 주요 생명보험사들이 줄지어 보험료 인상을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4월 전후로 적용되는 이번 보혐료 인상은 다수 보험사가 예정이율을 2.25%에서 2%로 조정한 것에 따른 결과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예정이율은 무엇일까요? 예정이율 인하가 왜 보험료 상승으로 이어지는 걸까요? 오늘 IBK기업은행에서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보험사의 수익구조와 예정이율 표준국어대사전은 ‘예정이율’을 ‘재산의 이용을 예측하여 미리 정하는 이익의 비율. 보혐료 계산에 많이 쓴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예정이율이란 재산을 어떠한 방식으로 운용하였을 때 그 결과로서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을 예상한 값입니다. 그럼 보험사와 예정이율은 어떤 연관성..

금융정보 톡 2021. 4. 8. 10:38

보험가입자가 반드시 알아둘 5대 권리!

보험 가입 후, 계약을 변경하고 싶거나 가입을 후회한 경우가 있나요? 이런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 지 고민하셨죠? 오늘은 앞에서 말한 경우에 어떻게 해야 좋을 지, 그리고 보험 가입 전 보험가입자(보험계약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보험 상식에 대해 알아볼까요? 청약철회권리(Cooling-off)란 보험계약자가 보험계약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 일정 기간 내에 아무런 불이익 없이 청약을 철회하여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보험계약자는 불필요한 보험에 가입한 경우 원칙적으로 보험증권을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청약을 철회할 수 있어요. 다만, 보험증권을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라 해도 청약을 한 날부터 30일 이내인 경우에만 청약을 철회할 수 있으니 기억해두세요.*(예시) 5월 1일 보험계약을..

금융정보 톡 2018. 6. 1. 14:00

시간은 돈! 유용한 금융 정보 사이트 한번에 해결하자

현명한 소비자라면 누구나 자신이 가입한 금융 상품에 대해 꿰고 싶은 마음이 있을 텐데요. 그러나 세세하게 따져 본 후 다양한 상품에 가입한 고객이라 할지라도 현실적으로 시간을 내 영업점에 일일이 방문하거나 전화로 체크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게다가 카드포인트처럼 실시간으로 변동이 생기거나 보험 상품과 같이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바쁜 일상을 보내며 확인하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를 위해 IBK기업은행이 소비자의 시간은 절약하고 정보는 배로 취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융정보 사이트를 정리했습니다. 나의 금융 정보를 한눈에! ※사이트명 및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크레딧포유(신용 정보 조회서비스)국내 금융기관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의 모든 신용 정보를 조회..

금융정보 톡 2017. 4. 18. 09:30

참! 쉬운 경제 상식 #보험 용어편 용어를 알아야 보험 상품이 보인다

살다 보면 예기치 않은 사고가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 사고에 놀란 가슴 추스릴겨를도 없이 병원비 청구서에 또 한번 놀라곤 하는데요, 이러한 예상치 못한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평소에 들어놓는 보험!!! 하지만 보험에 가입하려고 보면 생소한 단어들이 너무 많은데요, 자주 쓰는 보험용어 완전 타파!! IBK기업은행 블로그에서 보험 용어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계약자, 피보험자, 수익자?? 누가 누군가요?? 보험 계약할 때 꼭 필요한 사람이 있습니다. 보험금을 내는 사람, 보험의 주체가 되는 사람 그리고 보험회사로부터 정해진 보험금을 받는 사람. 대략적인 느낌은 오지만 실제로 조금 생소한 단어 때문에 헷갈리기도 합니다. 계약자는 돈을 내는 사람, 즉 보험금을 납입하는 사람으로 보험 계약에 대한 권리를 가진 사람..

금융정보 톡 2016. 12. 28. 07:00

추가 정보

인기글

  1. -
    -
    TV수신료 해지 방법! TV가 없다면 잊지 말고 TV수신료 해지하세요

    2021.01.28 10:51

  2. -
    -
    2021년 1월부터 시행되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완벽 분석

    2020.12.11 09:30

  3. -
    -
    이직, 대출 신청 시 필요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 홈택스에서 쉽고 간편하게!

    2021.01.13 11:00

  4. -
    -
    가전제품 구매 전 알아야 할 필수 정보! 에너지소비효율등급과 으뜸효율 가전 환급제도

    2021.01.26 09:30

최신글

  1. -
    -
    더이상 고민은 그만!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과 신고 방법

    생활정보 톡

  2. -
    -
    집 구할 때 헷갈리지 마세요! 전용면적/공용면적/공급면적/계약면적

    생활정보 톡

  3. -
    -
    예정이율이 떨어지면 보험료가 오른다? 예정이율이란?

    금융정보 톡

  4. -
    -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무엇이 바뀌게 되나요?

    금융정보 톡

페이징

이전
1 2
다음
푸터 로고 Copyright 2019. IBK(INDUSTRIAL BANK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