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3 원-달러 환율의 메시지 환율제도의 두 축과 그 한계환율제도는 큰 틀에서 보면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로 양분된다. IMF(국제통화기금)에 따르면 회원국의 13.4%가 고정환율제도를, 우리나라를 포함한 32.5%가 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나머지는 소프트 페그(soft peg)***라고 하는 두 환율제도를 절충하는 방식이다.어느 환율제도가 바람직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고정환율제도는 환율에 대한 ‘약속’으로 경제주체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변동환율제도는 외환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의 기능을 중시한다.물론 그 ‘약속’은 언제나 지켜질 수 있는지, ‘보이지 않는 손’은 언제나 신뢰할 수 있는지는 또 다른 문제다. 외환위기 시 고갈되는 보유외환과 폭등하는 환율의 공포는 정부가 환율을 통제하기도, 시장에 맡겨 두기도 어렵기 .. 2025. 9. 25. 예금 금리가 다시 떨어지는 이유? 국내 금리 현황 한국은행은 지난달 기준 금리를 또 한 번 인상했습니다. 그런데 기준 금리가 올랐음에도 예금 금리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덩달아 대출 금리도 낮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준 금리가 오르면 다른 금리도 올라야 하는데 어떻게 된 걸까요? 오늘은 IBK기업은행과 함께 국내 금리 현황과 그 원인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고공행진 중인 기준 금리 기준 금리란 한국은행이 일반은행과 돈을 거래할 때 적용되는 금리를 말합니다. 기준 금리가 오르면 일반은행은 높아진 이자 부담을 만회하기 위해, 일반 시민이나 기업에 돈을 빌려줄 때도 높은 금리를 적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준 금리는 우리 일상생활까지 큰 영향을 주는 경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기준 금리가 고공 상승을 시작한 것은 작년입니다. 22년 10월, 10.. 2023. 3. 3. 금리가 오르면 예금,저축,대출은? 금리 인상기 재테크 방법 2022년 7월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25%로 올렸습니다. 올해 1월 기준금리가 1.25%였던 것에 비하면 6개월 동안 1% 상승하였는데요. 팬데믹에 따른 초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고, 앞으로도 기준금리는 상승세를 보일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리 인상기에 자산을 지킬 수 있는 재테크 전략은 어떻게 세우는 게 좋을까요? 오늘은 IBK 기업은행이 금리 인상기에 적절한 재테크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기준금리가 도대체 뭐길래? 기준금리란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를 의미해요. 기준금리는 경제의 온도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기준금리가 오르는 배경엔 바로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가 지난해에 비해 6%나 오르면서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 .. 2022. 7.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