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톡

우리나라 지폐 속 숨겨진 문화유산 - 신사임당 오만원 편

by IBK.Bank.Official 2014. 5. 22.




새로운 지폐가 나오면 항상 지폐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가 나오기 마련입니다. 지난 2007년, 만원 신권이 나올 때에는 발행 앞 번호의 지폐를 받기 위해 전날부터 사람들이 한국은행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는 해프닝이 있었는데요, 그러한 혼란을 막기 위해 2009년 우리나라의 새로운 화폐인 오만원이 도입 될 때 한국조폐공사는 오만원권의 맨 앞 번호는 박물관에, 빠른 번호는 인터넷 경매로 판매하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수익금은 불우 이웃 돕기 등 공익을 위해 사용되었다고 하니 시작부터 참 좋은 오만원권이네요. 


기존 화폐가 아닌 완전히 새로 제작되는 지폐였기 때문에 발행 전부터 더욱 뜨거운 감자가 되었던 오만원권! 모델 선정부터 핫이슈였지요. 반대의 목소리도 많았지만 결국 모델이 신사임당이 되면서 아들 율곡 이이와 함께 세계 최초로 모자(母子)가 지폐에 그려지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오만원권, 그 안에 그려진 신사임당과 문화유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詩), 서(書), 화(畵)뿐만 아니라 성리학에도 뛰어났던 ‘신사임당’



우리에게 율곡이이의 어머니로도 친근한 신사임당(1504-1551)은 평범한 현모양처 이상으로 시,서, 화, 십자수, 옷감 제작, 성리학 등에 능한 여류 예술가였습니다. 


신사임당은 아들 딸에 차별을 두지 않는 교육관을 가진 아버지 덕분에 어렸을 때 부터 천자문, 명심보감, 사서육경 등을 배웠다고 합니다. 여러 딸들 중에 기억력이 뛰어나서 아버지의 총애를 한 몸에 받기도 했다고 하네요. 


아버지는 신사임당의 재능을 키워 줄 사윗감으로 이원수라는 사람을 점찍었고, 훗날 신사임당은 이원수 사이에 5남 3녀를 두게 됩니다. 조선 시대의 유교적 분위기 특성 상 여성이 예술 활동을 하기가 거의 불가능했지만, 아버지와 남편 이원수의 지지를 받아 신사임당은 꾸준히 시를 쓰고, 서예를 하고,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고 합니다. 특히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담긴 ‘사친 (思親)’이라는 시는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나오는 유명한 시이지요.


사친(思親)


천 리 먼 고향 산은 만 겹 봉우리로 막혔으니, 千里家山萬疊峯

가고픈 마음은 오래도록 꿈 속에 있네. 歸心長在夢魂中

한송정 가에는 외로운 둥근 달이요, 寒松亭畔孤輪月

경포대 앞에는 한 줄기 바람이로다. 鏡浦臺前一陣風

모랫벌엔 백로가 언제나 모였다 흩어지고, 沙上白鷺恒聚山

파도 위엔 고깃배가 오락가락 떠다닌다. 波頭漁艇各西東

어느 때 강릉 땅을 다시 밟아서, 何時重踏臨瀛路

색동옷 입고 어머니 곁에서 바느질할꼬. 更着斑衣膝下縫


이렇게 효심이 지극했던 신사임당을 닮아 아들 율곡 이이도 부모님을 생각하는 마음이 각별했다고 합니다. 신사임당이 병에 걸리자 율곡 이이는 5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매일매일 1시간 동안 기도를 올릴 정도로 어머니를 아꼈다고 하네요. 하지만 심사임당은 병이 점점 심해져 심장질환으로 향년 48세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출처: koreanessentials.com)



2. 풍요를 상징하는 신사임당의 작품, ‘묵포도도’



오만원권의 앞에 그려져 있는 ‘묵포도도(墨葡萄圖)’는 풍요를 상징하는 그림이라고 합니다. 신사임당은 일곱 살 때 화가 안견의 그림을 본떠 그리면서 실력을 쌓았는데요, 이때부터 산수화와 포도, 풀, 벌레 등을 그리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신사임당이 잔칫집에 초대된 어느 날, 국을 나르던 하녀가 어느 부인의 치맛자락에 국물을 엎어서 치마가 젖었는데 신사임당이 그 치마에 그림을 그리자 얼룩이 곧 포도송이가 되고, 싱싱한 잎사귀가 되기도 했다는 일화도 유명하지요. 이렇게 신사임당이 포도를 그린 치마는 당시 시장에서 매우 비싼 가격에 팔렸다는 후일담도 있답니다. 


이렇게 포도 그림과 관련된 빼어난 일화들을 생각해보면 신사임당의 많은 작품 중 묵포도도가 왜 오만원권 앞면에 그려지게 되었는지 짐작이 가시죠? 

 

(출처: http://blog.joins.com/nomad80)



3. 닭이 실제 풀과 곤충인 줄 착각했다는 명화 ‘초충도수병’ 



신사임당이 얼마나 그림을 잘 그렸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화로 가장 유명한 것이 ‘닭이 실제 곤충인 줄 알고 신사임당의 그림을 쪼았다’는 이야기이지요. 신사임당이 풀벌레 그림을 생동하는 듯이 섬세하게 그리고 난 후, 볕에 말리기 위해 그림을 마당에 내놓자 닭이 산 풀벌레인 줄 알고 쪼아대서 종이가 뚫어질 뻔했다고 합니다. 그만큼 신사임당은 빼어난 초충도를 그렸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오만원권에 그려진 ‘초충도수병(草蟲圖繡屛)’은 현재 보물 제595호로 지정되어 있고, 8폭 병풍에 화초와 곤충이 수놓아져 있다고 하네요. 


(출처: http://blog.joins.com/nomad80)



이상 오만원권의 앞면에 그려진 신사임당 그리고 신사임당이 그린 두 가지 그림 묵포도도, 조충도수병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오만원 뒷면에 그려져 있는 그림을 살펴보겠습니다.



4. 당대 매화 그림 중 가장 빼어난 작품, 어몽룡의 ‘월매도’



지난번 퇴계 이황 편 천원권에 숨겨진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포스팅에서 매화 이야기를 했던 것 기억하시나요? 


그때 꽃말 ‘고결한 마음, 인내’에 관한 이야기와 함께 퇴계 이황이 가장 사랑했던 사군자라고 매화를 소개했었는데요, 신사임당 역시 사군자를 사랑했다고 합니다. 오만원권의 뒷면에도 ‘월매도(月梅圖)’라는 매화 그림이 그려져 있기 때문이죠.


월매도는 신사임당이 직접 그린 그림은 아니지만, 신사임당이 살았던 조선 중기 당시에 그려진 매화 그림 중 가장 유명하고 빼어난 작품이라고 합니다. 이 그림은 매화 나뭇가지의 곧음, 강건함을 달밤의 모습으로 그렸다고 하네요. 특히 강약, 완급 조절이 매우 잘 된 작품이라 평가받고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 백과)



5.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사군자, 대나무를 그린 이정의 ‘풍죽도’



사군자는 유교 문화권에서 군자로 비교되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네 가지 식물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봄은 매화, 여름은 난초, 가을은 국화, 마지막으로 겨울에는 대나무가 상징 되지요. 대나무는 사시사철 푸르고 곧게 자란 성질이 있기 때문에 군자의 ‘지조와 절개’를 뜻합니다. “대쪽같은 사람이다”라는 말이 불의나 부정과는 타협하지 않는 본인의 지조를 지켜나가는 사람을 의미하지요.


오만원권에 그려진 ‘풍족도(風竹圖)’는 이정의 작품인데요, 이정은 목죽화에 있어서 조선시대 3대 화가로 꼽힐 정도로 실력 있는 화가입니다. 임진왜란 때 오른 팔을 크게 다쳤지만 회복하여 더욱 열심히 그림을 그렸다고 하네요. 오만원권의 풍죽도는 대나무가 바람에 나부끼는 모습을 묘사하였는데요, 짙은 먹과 흐린 먹을 대조시켜 탁월한 표현력을 보여줍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 백과)



여기까지 우리나라 대표 여성 위인 중 한 명인 신사임당이 그려져 있는 오만원권,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우리 조상들의 예술혼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렇게 귀한 문화유산들을 다시 한 번 생각하며 감사하는 마음을 되새기며 오만원권을 사용해야겠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