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급관리3

2023년 최저임금과 세후 월급 알아보기 2016년에 시간당 6,030원이던 최저임금. 매년 인상을 거쳐 2023년에는 시간당 9,620원에 이르렀습니다. 이렇게 최저임금이 오름에 따라 ‘최저임금 기준 월급’, 즉 최저 급여액도 인상됩니다. 올해부터 적용되는 최저 급여액은 2,010,580원으로 최초로 200만 원을 돌파한 금액입니다. 최저임금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오늘은 IBK기업은행과 함께 2023년 최저임금과 세후 월급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알아두면 좋을 최저임금 기본상식 올해 세후 임금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최저임금’이란 무엇인지 정확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저 임금은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국가에서 결정한 임금의 최저수준입니다. 1988년부터 실시되었으며 헌법은 물론 근로기준법에도 명시되어 있을 정도로 핵심.. 2023. 1. 10.
사회초년생, 그들의 재테크 사회초년생, 그들의 재테크 이제 막 사회에 발을 담그신 사회초년생 여러분. 설레는 마음으로 좌충우돌 회사생활은 잘 하고 계신가요? 아마 첫 월급을 받게 되면 그제서야 ‘내가 사회인이 되었구나’ 실감을 하며 뿌듯함을 느끼실텐데요. 갑자기 불어난 자금여건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씀씀이가 커지는 경우도 있지요. 이럴 때 일수록 월급관리를 철저하게 하며, 사회초년생 재테크를 시작하셔야 하는데요. 사회초년생들에게 꼭 맞는 재테크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회초년생의 재테크 방법1. 적금, 예금먼저 제일 기본적인 적금, 예금을 들 수 있습니다. 사회초년생 월급으로 시작할 수 있는 재테크 중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기도 하죠. 정기적으로 적금을 들어 꾸준한 저축 습관을 들이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소비를 줄.. 2013. 6. 26.
황금빛 30대를 보낼 수 있는 월급관리 노하우 황금빛 30대를 보낼 수 있는 월급관리 노하우 모두 월급날 기다려보신 적 있으시죠? 한 달을 꼬박 기다리던 월급날은 이상하게 출근하는 발걸음도 가볍습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통장에 들어온 월급이 흔적조차 없이 출금되는 경험을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텐데요. 특별한 것도 산 것도 없는데 그 많은 돈을 어디에다가 썼을까요? 카드명세서를 뚫어지게 쳐다봐도 기억나지 않는 상호명에 기억을 더듬어보신 적도 있으실 겁니다. 신용카드 알림을 설정해봐도 신경을 조금만 못 써도 쉽게 사라지는 월급은 직장인의 공통된 고민인데요. 도대체 어떻게 해야 월급 관리를 잘 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의 월급은 괜찮나요? 무엇을 위해 돈을 모을지 먼저 생각하기 사회에 갓 나온 20대 직장인들은 사회생활 준비로 소비 패턴이 불규칙한 것과 .. 2013.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