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폐 속 그림이야기
우리 실생활에서 떼어낼 수 없는 돈! 언제나 휴대하게 되는 돈! 없으면 불안한 돈! 혹시 여러분들은 이렇게 항상 접하게 되는 지폐들을 자세히 살펴본 적이 있나요? 화폐는 그 나라의 대표할 수 있는 여러 인물과 작품을 넣는 경우가 많은데요. 1,000원권의 '퇴계 이황', 5,000원권의 '율곡 이이', 10,000원권의 '세종대왕', 50,000원권의 '신사임당'. 등장인물 이외에 보조 소재로 쓰인 여러 작품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본 적이 있나요? 그럼 오늘은 우리가 사용하는 지폐 속 그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해요.
1,000\ - 겸재 정선과 퇴계 이황
천원권에 들어간 그림은 퇴계 선생의 그림이 아닌 한국회화 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로 알려진 겸재 정선의 계상정거도입니다. 겸재 정선이 위대한 화가로 남은 이유는 바로 그가 창안해 낸 진경산수화 때문인데요. 진경산수화는 그림의 이름이 아니라 산수화를 그리는 하나의 화법으로 그 이전까지만 해도 산수화를 그리는 화가들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겸재 정선 – 계상정거도>
대부분 끝없이 올라가는 비정상인 산의 모습과 구름, 장엄함을 오로지 상상과 느낌에 의존하여 그렸으나 진경산수화는 말 그대로 진짜 풍경을 직접 보고 그린 산수화가 등장함으로써 비로소 사실적인 산 봉우리의 모습이 정확히 그림에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그렇다면 계상정거도와 퇴계 이황선생과는 무슨 연관이 있는 걸까요? 계상정거도는 바로 퇴계이황 선생의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주변의 모습을 담은 산수화입니다. 계상정거(溪上靜居)의 글자를 풀면 ‘냇가에서 조용히 지낸다’는 뜻인데요. 그림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앞에는 강이 흐르고 뒤의 산이 둘러 싸인 배산임수의 풍경으로 그 안에 작은 암자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좀 더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퇴계 선생이 그 속에서 조용히 책을 읽고 계신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5,000\ - 율곡 이이와 어머니 신사임당
아시다시피 오천원권에는 율곡 이이 선생의 초상이 들어있습니다. 이이는 실효를 강조하는 철학사상과 조선 사회의 제도 개혁을 주장한 학자입니다. 또한 율곡이이의 어머니는 신사임당이죠. 오천원권에는 그의 어머니의 작품인 신사임당의 초충도가 들어가 있습니다.
<신사임당 - 초충도>
신사임당은 한국 회화사를 통틀어 거의 유일하게 다루어지는 여류 화가입니다. 또한 시.서.화에 뛰어났고 산수, 포도, 묵죽, 묵매, 초충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었으며, 특히 현전하는 <초충도>는 대부분 신사임당의 것으로 전칭될 정도로 독보적인 분야입니다.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수박과 들쥐, 가지와 방앗깨비, 오이와 개구리, 양귀비와 도마뱀과 같은 것들을 그린 전체가 8장으로 이루어진 그림으로 오천원권에는 그 맨드라미(왼쪽)과 수박(오른쪽) 부분이 조금씩 들어가 있습니다.
10,000\ - 세종대왕 그리고 해품달
만원권 앞면에는 세종대왕의 초상이 보입니다. 그리고 세종대왕 초상뒤로 일월오봉도가 등장하는데요. 이름 그대로 달과 해, 그리고 다섯 개의 산봉우리와 물이 일정한 구도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른 그림들은 모두 화폐의 뒷면에 그려진 반면 만원권만 유일하게 앞면에 그림이 들어있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일월오봉도>
일월오봉도는 조선시대 임금이 있는 곳에는 항상 뒤에 존재하는 병풍이었습니다. 일월오봉도는 왕권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의도에서 제작된 것입니다. 그래서 화폐에서도 세종대왕의 뒤에 병풍처럼 그림을 펼쳐둔 것입니다. 이 그림은 최근 화제의 드마라, <해를 품은 달>에도 배경화면으로 자주 등장했던 그림으로 유명하죠?.
50,000\ - 앞면은 심사임당 뒷면은?
신사임당 초상이 있는 오만원권의 뒷면에는 어몽룡의 월매도가 있습니다. 월매도는 사군자인 대나무, 매화, 국화, 난초 중 매화를 그린 것인데요.
<좌:어몽룡 월매도, 우:조희룡 매화도>
어몽룡은 매화그리기를 좋아하여 일평생 매화만을 그린걸로 유명합니다. 그의 매화도가 다른 그림에 비해 특별한 이유는 어몽룡이 매화그리기의 달인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까지의 매화 그림은 가지가 꺾인 구조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데, 이 그림은 처음부터 곧게 뻗어 나감으로써 매화의 절개와 고고함을 그대로 전해준다는 것입니다. 매화는 군자에 주로 비유되며, 달빛 머금은 매화의 청순함이 상징화되어 문학과 그림의 소재로 등장했는데요. 중국처럼 흔히 꽃이 무성한 매화가 아니라 곧고 조촐한 가지를 담박하게 그리는 미감은 어몽룡의 특징으로 조선 중기 매화의 전형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오만원권에 신사임당의 그림이 아닌 어몽룡의 월매도를 넣었을까요?
<좌:묵포도도, 우:초충도수병(가지)>
한국은행 측에서는 이미 오천원권에 신사임당의 그림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다양성을 위해 동시대 화가의 그림을 뽑은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대신 오만원권 앞면에 신사임당의 묵포도와 초충도수병의 가지가 등장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지폐 속 회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저 또한 조사과정에서 무심코 쓰는 지폐에 선조들의 멋이 들어난 작품을 무심코 지나쳤다는 점에서 반성을 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오늘부터 지폐의 훌륭한 조상들의 작품을 느껴보며 지폐를 써보는 건 어떨까요? :)
지금까지 지폐 읽어주는 남자 IBK기업은행의 서종한이었습니다.
서종한 시흥유통상가지점 안녕하세요! 다양한 경험과 열정으로 청년필진에 임하는 서종한입니다. IBK기업은행 블로그의 아이디어 뱅크가 되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기사로 자주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금융정보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마 나에게도? 지피지기 백전백승! 보이스 피싱 (21) | 2012.06.22 |
---|---|
여름휴가철, 돈버는 여행을 위한 재테크 팁 (17) | 2012.06.21 |
[참! 좋은 뉴스] IBK기업은행 주간 핫 뉴스 - 6월 3주차 (21) | 2012.06.18 |
알면 힘이 되는 법률! 중소기업의 외부 계약 시 주의사항_ 제 7편 (9) | 2012.06.15 |
여수엑스포에 운전자 없이 차가 다니고 있다? (14) | 2012.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