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1995

직장인이 ‘파이프라인’을 만든다고? ‘파이프라인 우화’와 패시브인컴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직장인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파이프는 수도시설을 구축하는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나 사용하는 것인데 어째서 직장인 다수가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데 관심을 갖는 것인지, 파이프라인이 무엇이기에 이게 있으면 잘 때도 돈이 들어온다고 하는 것인지 의아하셨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파이프라인’은 단어 그대로 배관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패시브인컴이 발생하는 창구, 또는 패시브인컴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인데요. 오늘 IBK기업은행에서는 그렇다면 패시브인컴은 또 무엇인지, 파이프라인이라는 말은 어디서 유래했으며 어떻게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패시브인컴이란? 파이프라인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먼저 패시브인컴의 정의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패시브인컴은 직역하면 ‘수.. 2021. 3. 25.
20년 만에 최고치 기록한 대한민국 엥겔지수! 도대체 ‘엥겔지수’가 뭘까? 코로나19로 인한 집밥과 배달 음식의 시대, '엥겔지수'에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우리의 일상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특히 외출 자체가 어려워지면서 다양한 외부 활동이 줄어들고 식사는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거나 배달로 해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런 생활의 변화는 가계 지출액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엥겔지수’ 역시 역대 최고치로 치솟았다고 합니다. 엥겔지수가 무엇이길래 이 팬데믹 시기에 이렇게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일까요? 식문화와 엥겔지수는 어떤 관련이 있는 걸까요? 오늘 IBK기업은행에서는 우리 사회의 경제 단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엥겔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회의 경제 및 가계 상태를 가늠하는 지표, ‘엥겔지수’ 알아보기.. 2021. 3. 24.
부동산 중개 수수료, 누가 정하고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햇살과 공기에서 봄 내음이 물씬 풍기는 3월입니다. 매년 봄이 되면 본격적인 ‘이사철’에 접어들어 부동산을 기웃거리거나 매물을 살펴보는 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주택, 토지, 상가 등을 매매 또는 임대 목적으로 거래할 때, 중개업자에게 적게는 수십만 원 많게는 수억 원에 이르는 중개 수수료를 지급하게 되는데요. 이런 부동산 중개 수수료에 대해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품고 계신가요? 오늘 IBK기업은행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인 ‘부동산 중개 수수료’에 대한 논란과 현재 추진 중인 개선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중개 수수료는 무엇에 대한 비용이며 어떻게 결정될까? 부동산 중개 수수료는 중개업자가 주택, 토지, 상가 등 부동산 권리의 득실 변경 행위를 알선하고 중개하여 받는.. 2021. 3. 19.
사업 또는 상가 거래를 계획 중이라면 필독! 권리금부터 확실히 알고 준비하세요 길을 걷다가 빈 상가 건물에 ‘무권리금’이라는 종이가 붙어있는 것을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권리금이 사회 통념상 무엇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어떤 권리에 대한 비용인지 어렴풋이 알 수는 있겠지만, 직접 권리금을 낀 계약을 해보지 않는 이상 권리금의 종류와 개념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기는 쉽지 않을 텐데요. 오늘 IBK기업은행은 상가 거래 시 발생하는 권리금에 대해 차근차근 하나씩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권리금’은 도대체 무엇에 의한, 무엇에 대한 비용일까? 권리금이란 일반적으로 상가 또는 회사 등을 거래할 때 기존 영업주 혹은 건물주의 영업 방식, 영업에 필요한 요건 등을 인계받는 대가를 의미합니다. 권리금은 기준에 따라 크게 바닥 권리금, 시설 권리금, 영업 권리금으로 구분됩니다. 유동 인구 및 입지 조.. 2021. 3. 16.
내 집 마련을 위한 상식! 부린이를 위한 주택담보대출 관련 핵심 용어 LTV, DTI, DSR 2021년 새해에도 여전한 대한민국 부동산 열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부동산에 쏠려있는 만큼 뉴스와 기사를 통해 부동산 관련 용어들이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택을 매매할 때 피할 수 없는 대출 관련 용어들은 가뜩이나 복잡한 머리를 더 아프게 만들곤 합니다. 당장 집을 사거나 팔 계획이 없더라도 알아두면 언젠가 분명 쓸모 있을 부동산 용어! 오늘은 주택담보대출에 관련된 핵심 용어 세 가지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 LTV (담보인정비율) : 우리 집을 담보로 얼마까지 빌릴 수 있는가 LTV는 ‘Loan to Value Ratio’의 약자로 주택담보인정비율을 뜻합니다. 금융기관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신청할 때 담보주택 시세의 몇 퍼센트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즉,.. 2021. 3. 11.
주차비, 똑똑하고 알뜰하게 줄여보세요!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 할인 혜택 유류비, 보험비 등 각종 관리비가 요구되는 차량 유지! 여기에 주차비까지 더해지면 여간 부담스러운 게 아닌데요. 매일, 다달이 쌓이면 목돈이 되는 주차비를 아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공영주차장 이용과 감면 혜택으로 주차비 아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자체에서 운영해 민간 주차장보다 저렴한 공영주차장 공영주차장이란 주차난 해소와 주차 질서 정립을 위해 각 지역의 행정기관에서 운영 및 관리하는 주차장입니다. 민간주차장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운영 시간 종료 후(18시 이후)에는 주차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영주차장을 더욱 저렴하게 이용할 방법이 있는데요. 나에게 맞는 혜택이 있는지 살펴본 후, 감면 신청해 주차 비용을 아껴보세요.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 팁 1: 다자녀 .. 2021. 3. 9.
2021 근로장려금, 자격요건과 신청기간 확인하세요!(반기신청 진행중!) 3월의 시작과 함께 2020년 하반기 소득에 대한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기간(3월 1일~3월 15일)이 돌아왔습니다! ☞근로장려금 제도란? 열심히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사업자(전문직 제외) 또는 종교인가구에 대해 가구원 구성과 총급여액 등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 (출처: 국세청 홈페이지) 근로장려금은 누가,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2021년 근로장려금 신청기간과 지급 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지금부터 IBK기업은행과 함께 확인하여 보세요. 근로장려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①대상 가구 알아보기 근로장려금 신청 가능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본인이 속한 가구가 단독가구, 홑벌이가구, 맞벌이가구에 해.. 2021. 3. 4.
당신도 ‘디지털 지구’에 살고 있나요?! 3차원 가상 세계 ‘메타버스’ 알아보기 모든 것이 가능한 초현실 세계, 뜨겁게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시장 코로나19로 인해 우리는 너무나 많은 것을 잃거나 단념한 채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답답한 현실에 파묻혀 절망하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 이제 사람들은 취미, 오락 활동 등은 물론 사람과의 관계, 문화 활동까지 언택트 시장을 통해 해결하고 있습니다. 특히 Z세대라고 불리는 10대들의 경우 가상 세계에서 단순히 스트레스를 풀거나 해소하는 것을 넘어 아예 새로운 즐거움을 경험하고 또 만들어가고 있는데요. 이런 사회적 분위기를 바탕으로 3차원 가상 세계, ‘디지털 지구’라고 불리는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오늘 IBK기업은행에서는 초현실 세계 ‘메타버스’에 대한 개념과 이슈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우리.. 2021. 3. 2.
주식 투자부터 ‘클럽하우스’ 열풍까지, 우리 사회를 뒤흔드는 '포모증후군' 알아보기 ‘다들 OO 하는데…’ 나만 소외되는 기분에 오늘도 전전긍긍, 혹시 나도 ‘포모증후군’? IBK기업은행의 여러 포스트 중, ‘자발적 아웃사이더’가 되어 온라인의 불필요한 관계를 정리하는 ‘조모(JOMO : Joy of Missing Out)’족에 대한 글을 혹시 기억하시나요? 이렇게 대다수 사람들의 관심 분야와 사고방식, 이를테면 ‘대세’를 거스르는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만족감과 해방감을 느끼는 이들이 있는 반면, 대세의 흐름을 타지 못하고 자신만 소외되는 듯한 상황에 두려움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바로 ‘포모증후군’에 해당하는 이들인데요. 오늘 IBK기업은행에서는 사회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할 때 고립공포감을 느끼는 현상 ‘포모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셜미디어의 과용이 낳은 사회적 불안, ‘.. 2021. 2. 26.